■ 아스트라제네카(AZ) 혈전 발생, 접종 중단 ■
국내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이 시작된지 1개월이 조금 넘어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부작용으로 지목되었던 고열, 몸살, 근육통, 두통이 있었지만
대부분 경미한 부작용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젊은 층에서 일부 혈전이 발생해 자칫 사망에 이른 경우도 발생했는데요
결국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이 일부 계층에서 제한이 되었습니다.
국내에서도 글로벌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AZ) 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후
접종자에게서 혈전증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얼마전 20대 의료기관 종사자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한 후 다리와 폐에 혈정증이 발생해 중증 이상반응으로
보고가 되어 백신과 인과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백신 접종후 혈전증 발생사례로는 백신 접종후 사망한 60대 요양병원 환자와
뇌정맥동혈전증 진단을 받은 20대 1차 대응요원을 포함해 총 3건이 보고가 되었습니다.
또한 해외에서도 다수의 백신 후유증으로 인해 혈전증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 전문가들은 아스트라제네카(AZ)의 주요 부작용으로 혈전증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유럽의약품청(EMA)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이 혈전증 발생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100만명당 4명꼴로 발생할 수 있지만 백신의 효과가 크기때문에 주의해서 접종을 해야한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유럽의약품청(EMA) 청장인 에머 쿡 씨는 "이런 매우 드문 부작용(혈전)으로 사망할 위험보다는 코로나19로 인해 사망할 위험이 훨씬 더 크다" 라고 이야기해 백신접종은 계속될것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영국에서는 30세 미만에게는 다른 백신을 접종할것을 권고했고
벨기에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한시적으로 만 56세 이상에게만 접종할것을 결정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정부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에 대한 조치가 내려왔는데요
이미 진행중이던 60세 미만 국민에 대한 접종을 전면 보류했습니다.
또한 4월 8일 예정되었던 특수학교 종사자, 유치원, 초중고교 대상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백신접종도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4월 9일 백신접종을 시작하기로한 장애인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결핵한센인 거주시설, 노숙인시설, 교정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한 아스트라제네카(AZ) 접종도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질병관리청장인 정은경 청장은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선제적으로 실시한 조치이며
유럽의약품청(EMA) 발표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전문가들과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백신접종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되었는데요
안정적인 백신접종을 위해서는 아스트라제네카(AZ) 뿐만 아니라 얀센, 노바백스, 모더나 등
이미 구매계약을 맺은 백신 도입을 빨리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현재 얀센백신은 코로나19 백신 중 유일하게 한번만 접종해도 예방효과가 있는 백신입니다.
임상시험에서 얀센 백신 접종 후 14일 이후 66.9%, 28일 이후 66.1%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는데요
안전성 또한 양호하다는 결론입니다.
우리나라는 얀센백신 600만명분 계약을 맺었지만 도입일정을 아직까지 확정을 못했다고 합니다.
사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백신 도입이 늦어진 이유가 안전성때문에
다른 나라들 접종 후 안전성이 좀더 인정되면 그때 접종을 하기 위해 늦쳐진걸로 아는데
우리나라도 이제 4차 유행을 대비해야 되어 이제는 하루빨리 백신이 도입되어
전국민 중 70% 이상이 접종이 될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시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백신스와프 요청 미국의 반응은 글쎄? (382) | 2021.04.21 |
---|---|
국내 코로나백신 허가 현황-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모더나, 노바벡스 (13) | 2021.04.13 |
국내 백신여권 도입 언제부터? (12) | 2021.04.12 |
북한 핵시설, 영변보다 두배 큰 강성이 있었다 (0) | 2018.07.05 |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 개장 (1) | 201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