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 코로나백신 허가 현황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모더나, 노바벡스

 

얼마전 아스트라제네카 혈전 발생 부작용으로 인해 접종이 일시 중단되었는데요.

국내 코로나백신 접종일정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국내 백신도입 일정에도 차질이 생기고 있는데요

연말까지 전국민 70% 백신접종이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그럼 국내 허가받은 코로나백신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알아보겠습니다.

■ 국내 허가된 코로나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뿐

현재까지 국내에서 코로나백신 허가를 받은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뿐입니다.

아스타라제네카는 부작용으로 인해 백신접종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4월 12일부터 접종이 제기되었습니다.

4월 12일부터는 30세 이상만 접종을 하기로 최종 결론이 났습니다.

또한 특수학교 종사자, 유치원, 초중고교 보건교사, 감염 취약시설 종사자 등 14만2000여명의 백신 접종도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잠정 보류되었던 60세 미만의 3만 8천명도 다시 백신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30세 미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투여받은 사람은 13만 5000명에 이르는데 

이미 1차 접종을 맞은 20대는 희소 혈전증 관련 부작용이 없는 20대에 한해

아스트라제네카로 2차 접종을 실시한다고 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한 전문가는 1차 접종때 이상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2차 접종때도 이상이 없으리라는 근거는 없다며 

20대를 대상으로 2차 접종을 하는것은 이르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 얀센백신 국내 3번째로 허가

국내 식약처는 4월 7일 다국적회사 존슨앤드존슨의 얀센이 개발한 얀센백신을 정식 코로나백신으로 허가하였습니다.

따라서 국내에서 허가를 받은 코로나백신은 아스타라제네카, 화이자에 이어 얀센이 3번째로 등록되었습니다.

얀센백신은 1회 접종으로 끝나는 유일한 백신으로 1회 접종시 약 67%의 예방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67%의 예방효과는 다른 백신 예방효과 보다는 다소 떨어지지만 1회만 접종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얀센백신은 영하 25도에서 15도 사이에서 보관하며 약 24개월동안 보관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얀센백신

얀센백신도 부작용이 있는데요

얀센백신의 부작용은 주사부위 통증, 두통, 피로, 근육통이 발생하는데 이는 2-3일 후면 회복된다고 합니다.

다만 부작용 횟수가 잦아 미국 일부주에서는 얀센백신의 접종을 중단했다고도 알려졌습니다.

얀센백신은 현재 600만명분의 구매계약이 이루어졌지만 언제 도입될지는 협의중이라고 합니다.

 

■ 국내 4번째 허가 진행중인 모더나 백신

4월 12일 녹십자사가 미국 모더나사의 모더나백신을 코로나19 백신으로 수입허가를 신청했다고 합니다.

국내 도입예정인 백신 중 4번째로 수입허가를 신청했는데요.

모더나 백신은 mRNA 백신으로 화이자 백신과 그 원리가 동일한 백신입니다.

모더나 백신도 2회 접종으로 개발되었으며 식약청에서는 안전성과 효과성을 확인하여 허가여부를 결정한다고 합니다.

현재 모더나 백신은 미국, 영국에서 긴급승인을 했으며 

유럽연합, 캐나다, 스위스에서는 허가를 받긴 했으나 추가자료를 요청받은 상태입니다.

모더나 백신

 

■ 국내 전량 위탁생산 노바백스 허가는 언제?

노바백스사가 개발한 노바백스 백신이 국내 SK바이오사이언스 국내 공장에서 전량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이 백신은 기술이전 방식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첫번째 코로나백신입니다.

현재 우리정부는 노바백신을 총 2천만명분 도입하기로 했지만 본격적인 생산이 되기 위해서는 

2분기 6월정도 되어야 정상적인 생산이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국내 의료기관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3분기쯤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아직 국내에서 허가절차도 시작되지 않아 허가절차가 완료되는 시점에 백신접종이 시작될거 같네요.

이로써 국내에서는 총 5가지 백신이 허가를 받을거 같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모더나, 노바백스

그중 화이자가 가장 예방효과가 좋고 안전성 면에서는 노바백스가 가장 안전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1회 접종으로 끝나는 얀센백신이 있습니다.

 

 

 

■ 그럼 국내에서 개발중인 코로나백신은?

우리나라의 바이오산업이 외국의 바이오사의 위탁생산을 하고 있는데요

그럼 국내 코로나백신 개발은 힘들까요?

현재 국내 바이오회사 5곳에서 코로나백신을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국내 코로나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회사는 

SK바이오사이언스, 유바이오로직스, 셀리드, 제넥신, 진원생명과학 등 5개 회사이고

현재 코로나백신 임상시험에 들어갔으며 하반기쯤 임상 3상을 목표로 개발중이라고 합니다.

올해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모더나에 의존해야 할거 같네요. 

이렇게 국내외적으로 코로나백신 도입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백신이 들어와 빨리 접종이 이루어져 평범한 일상으로 하루빨리 돌아갔으면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 아스트라제네카(AZ) 혈전 발생, 접종 중단 ■

 

 

 

국내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이 시작된지 1개월이 조금 넘어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부작용으로 지목되었던 고열, 몸살, 근육통, 두통이 있었지만

대부분 경미한 부작용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젊은 층에서 일부 혈전이 발생해 자칫 사망에 이른 경우도 발생했는데요

결국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이 일부 계층에서 제한이 되었습니다.

국내에서도 글로벌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AZ) 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후

접종자에게서 혈전증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얼마전 20대 의료기관 종사자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한 후 다리와 폐에 혈정증이 발생해 중증 이상반응으로

보고가 되어 백신과 인과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백신 접종후 혈전증 발생사례로는 백신 접종후 사망한 60대 요양병원 환자와

뇌정맥동혈전증 진단을 받은 20대 1차 대응요원을 포함해 총 3건이 보고가 되었습니다.

또한 해외에서도 다수의 백신 후유증으로 인해 혈전증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 전문가들은 아스트라제네카(AZ)의 주요 부작용으로 혈전증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유럽의약품청(EMA)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이 혈전증 발생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100만명당 4명꼴로 발생할 수 있지만 백신의 효과가 크기때문에 주의해서 접종을 해야한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유럽의약품청(EMA) 청장인 에머 쿡 씨는 "이런 매우 드문 부작용(혈전)으로 사망할 위험보다는 코로나19로 인해 사망할 위험이 훨씬 더 크다" 라고 이야기해 백신접종은 계속될것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영국에서는 30세 미만에게는 다른 백신을 접종할것을 권고했고 

벨기에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한시적으로 만 56세 이상에게만 접종할것을 결정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정부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에 대한 조치가 내려왔는데요

이미 진행중이던 60세 미만 국민에 대한 접종을 전면 보류했습니다.

또한 4월 8일 예정되었던 특수학교 종사자, 유치원, 초중고교 대상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백신접종도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4월 9일 백신접종을 시작하기로한 장애인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결핵한센인 거주시설, 노숙인시설, 교정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한 아스트라제네카(AZ) 접종도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질병관리청장인 정은경 청장은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선제적으로 실시한 조치이며

유럽의약품청(EMA) 발표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전문가들과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백신접종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되었는데요

안정적인 백신접종을 위해서는 아스트라제네카(AZ) 뿐만 아니라 얀센, 노바백스, 모더나 등 

이미 구매계약을 맺은 백신 도입을 빨리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현재 얀센백신은 코로나19 백신 중 유일하게 한번만 접종해도 예방효과가 있는 백신입니다.

임상시험에서 얀센 백신 접종 후 14일 이후 66.9%, 28일 이후 66.1%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는데요

안전성 또한 양호하다는 결론입니다.

 

우리나라는 얀센백신 600만명분 계약을 맺었지만 도입일정을 아직까지 확정을 못했다고 합니다.

사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백신 도입이 늦어진 이유가 안전성때문에 

다른 나라들 접종 후 안전성이 좀더 인정되면 그때 접종을 하기 위해 늦쳐진걸로 아는데

우리나라도 이제 4차 유행을 대비해야 되어 이제는 하루빨리 백신이 도입되어 

전국민 중 70% 이상이 접종이 될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